공중보건학
우리나라는 급속적인 경제발전으로 국민의 건강수준과 삶의 질이 향상되었다. 경제발전에 따른 산업화와 도시화는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켰고, 출산율의 저하로 인구의 고령화를 야기하였다. 이와 더불어 생활양식의 변화 등으로 상병구조는 만성 퇴행성 질환 중심으로 변화하였고, 이로 인한 의료비 증가 등의 문제가 대두도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지역사회의 조직화된 노력을 통한 공중의 건강증진이나 질병 예방을 위한 공중보건의 역활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공중보건학의 역활이 중요해지는 만큼 다루어야 할 범위도 점점 확대되어 지역사회 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염병의 예방은 물론, 만성질환 관리, 손상관리,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증진에서부터 보건교육과 영역별 보건, 그리고 환경보건, 산업보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으로 넓혀졌다. 이와 같은 다양한 영역에 걸쳐있는 공중보건문제를 한 사람의 연구자가 모두 다루기에는 전문성에 문제가 있어 다양한 영역의 전문가들이 모여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경북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경제학석사를 미국 University of Hawaii에서 경제학으로 Ph.D.를 받았다.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제1편 공중보건학의 이해 제2편 역학 및 질병관리 제3편 보건관리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