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이해할 수 없어서, 사랑해
서문
로댕의 작품 속에<신의 손>이라는 작품이 있다. 하얀 대리석으로 곱게 깍은 미의 극치이다. 신의 손에서 인간이 창조되는 광경을 조각한 것이다. 한쌍의 젊은 나체의 남녀가 서로 꼭 포옹한 채 <신의 손>에서 탄생되고 있다.
[로댕 신의손]
https://www.google.com/culturalinstitute/assetviewer/thehandofgod/uwF08tA6QvTDnw?hl=ko&projectId=artproject
신의 창조 손이 제일 먼저 만든 것은 사랑하는 남녀다.
그 한쌍의 남녀는 그 전에 고립해 있었을 때보다 서로 어울린 까닭으로 해서 훨씬 완전한 인간이 되어있다. 로댕은 이 한쌍의 남녀의 자태 속에 정신력에 의해서 고상해진 원시적인 힘과 사랑을 표현하는 동시에 남자는 완전히 남성적으로 여자는 완전히 여성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사랑에 의해 완성되는 남녀관계, 그래서 사랑은 인간의 주성분,① 베일에 가려진 저쪽 신비의 세계가 아니라 너와 나의 두 곳에 깃들인 하나의 정신이다.② 두 사람만이 나눈 비밀의 하모니, 그것이 정신적이든 육체적이든 사랑의 성립은 이미 융화된 하나의 길고 깊은 구원의 세계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신의 창조 손이 제일 먼저 만든 것은 사랑하는 남녀, 하지만 로댕의 손을 떠난 현실적인 남녀의 사랑은 하얀 대리석으로 곱게 깍은 미의 극치처럼 아름답지도 않고 완성되지도 못한 체 표류하고 있다.
이것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께스의 <콜레라 시절의 사랑>에서 보여주듯 사랑이 다시 문제가 되어야 하는 데는 너무 많은 사랑이 차라리 사랑의 부재(不在)처럼 사랑에는 나쁜 것을 우리가 깨닫기 시작한 때문인지도 모른다..
사랑은 영화대본, 문고판 서적, 스포츠신문의 적나라한 주제가 된지 이미 오래이고, 여성잡지는 사랑 덕택에 번창한다. 대중가요는 사랑이라는 영원한 주제를 노래한다.
TV에 나오는 의식주에 관한 광고, 그리고 ‘사랑’과 거의 관계가 없는 상품의 선전 광고에도 사랑이라는 하나의 이미지가 온통 도배질되어 있다.
프랑스 낭만파 시인 프랑수아 비용은 “끊임없이 사랑이란 단어를 남용해 부엌용어나 매일 사용하는 일상용어로 타락시키고 말았다고 기술하면서, 사랑이란 단어를 ‘길거리에 나뒹구는 휴지조각처럼 불쌍하게 된 단어’라고 탄식한다. 애인을 사랑하고 신을 사랑하고 애플파이를 사랑하고, 음악을 사랑한다는 것처럼 ‘사랑’이란 단어를 똑같이 쓰면서도, 그 의미는 천차만별 멋대로 이다.
그러므로 사랑이 물리학보다 훨씬 더 복잡한 과학이라고③ 할지라도, 사랑은 근면하고도 보편적인 방법으로 실제적 이론적으로 연구될만한 가치가 있는 것입니다. 에로티시즘적 현상 탐구가 오늘날의 유일한 철학, 문학이어야 함은 어제도 오늘도 없는 이 유원한 생명적 질서가 오늘의 혼돈을 행복과 쾌락과 고통의 길로 이끄는 가늠자이기④ 때문입니다.
‘존재와 무’란 명제가⑤ 보여주듯이 우리 시대는 사랑에 관한한 또 한 번 ‘이 없는 것’ ‘모르는 것’ 앞에 서서 이성의 벽과 어두움, 눈멀음을 경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우리는 다시 성애(性愛)를 이성(理性)으로 취급하는 일이⑥ 중요하며, 사랑에 관련된 많은 문제(성, 결혼,이혼, 재혼, 독신 등)는 고대나 현대 할 것 없이 한 사회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러셀이자 잃어버린 낙원에 대한 우리의 추구이기⑦ 때문이다.
뒤시앵 페브로(Lucien febre)도 기쁨, 사랑과 같은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들에 대한 역사를 밝혀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 HLD(Healing Love Diary)시리즈는 연애 또는 결혼을 통해 서로에게 다가서는 의미 있는 관계를 맺으려는 우리들의 노력에 관한 것들이다. 또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경험 하거나 경험하지 못한 사랑에 대한 보고서들이다.
우리는 이 HLD 시리즈를 통해 표류하고 있는 우리의 사랑, 너무 많은 사랑이 차라리 사랑의 부재(不在)처럼 느껴지는 현실의 상황에서 사랑에 관련된 많은 문제(성, 결혼, 이혼, 재혼, 독신 등)에 대한 해답을 함께 찾고자 한다.
<작가 소개>
저자소개
모 결혼정보회사 웹사이트에 결혼관련 칼럼을 쓰기 시작한 것이 계기가 되어 『재혼이야기: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키메이커/2013)에 이어 너무 많은 사랑이 차라리 사랑의 부재(不在)처럼 느껴지는 현실의 상황에서 사랑에 관련된 많은 문제(성, 결혼, 이혼, 재혼, 독신 등)에 대한 해답을 HLD(Healing Love Diary)시리즈 형식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바깥이 22℃나 되는 날씨에도 춥다고 징징대는 너를 사랑해』(키메이커/2015.1)『사랑이란 감기처럼 면역성이 없어 누구나 걸리는 것』(키메이커/2015.2)을 출간했다. 현재 블로그 『재혼가족/STEPFAMILY』(http://ksfs.tistory.com)을 운영 중이며, 기본적으로는 에릭 프롬의 ?사랑의 기술?에서 언급된 사랑도 배워야 한다는 생각에 절대 공감하며, 블로그를 통해 들어오는 상담에 응하면서 관련 자료를 정리중이다.
목차
31 사랑은 감정 이상의 그 어떤 것
32 깊은 사랑으로 나누기 위해 섹스가 필요한 이유
33 독신/그저 평범하게 "사랑하고 일하며 사는" 삶이다
34 <정서적 이혼>의 방지
35 커플 사이에도 스케줄에 관한 한 여전히 독신인 경우
36 성 욕구의 차이는 남녀 모두에게 하나의 도전이다
37 어떤 욕구는 만족한 결혼 생활에서도 완벽하게 충족 되지 않는다
38 오래된 포도주처럼 오래 된 사랑역시 보다 만족스럽다
39 포르노/줄거리 없는 성 이야기
310 독신으로 산다는 것
311 이혼은 또 하나의 선택(?)
312 진정한 사랑을 이루고 싶다면 과거 첫사랑의 기억은 깨끗이 잊어야 한다
313 상징적인 간통/"바란티나주"
314 결혼, 행복한 만큼 그 이상의 고뇌도 있다
315 성숙한 사랑의 관계에서도 그만의 시간,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하다.
316 가족이 일체감을 갖기 위해 가능한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내야 한다
317 더 아름다워 질수 없을 만큼 아름다운 사람은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
318 재혼/사랑 이전에 "조건"
319 사랑은 있는 그대로를 수용해 주는 것
320 미혼 젊은이들의 성관계/ "남자에게 있어서는 피날레, 여자에게 있어서는 시작"
321 결혼의 위기에 "냉각기"를 갖는다는 것은...
322 사랑의 실패는 말다툼의 횟수가 아닌 말다툼의 <방식에 있다>
323 행복한 결혼에 대한 기준은...
324 탐욕은 그 성격상 충족되자 말자 상대방을 마치 단즙이 다 빨린 레몬이 내 던져지는 것처럼 내동댕이쳐진다.
325 재혼의 또 다른 조건/"성적만족"
326 사랑만을 위해 결혼하는 것 보다 더 어리석은 일은 없다(?)
327 누가 버어지니아 울프를 두려워 하는가?
328 사랑의 반사영상은 우리가 얼마나 속 좁고, 성마르고, 음흉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329 열정 친밀감 헌신, 그리고 책임감/사랑의 삼각이론(1)
330 이성끼리 친구로 지내는 것이 가능할까?/사랑의 삼각이론(2)
331 사랑을 그릴 수 있는가?/사랑의 삼각이론(3)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