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운동관리사를 위한 운동상해
1995년 서울야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에 입사한 후 10년동안 임상에서 환자, 부상선수, 종합검진자를 대상으로 체력검사, 운동상담, 운동처방, 선수재활을 담당 하였습니다. 퇴사 후 헤렌스포츠클리닉과 CSI선수재활센터를 경영하면서 선수와 환자를 대상으로 재활훈련 및 손상예방을 위한 센터를 10년 동안 경험하였습니다. 이러한 임상경험을 통해 운동이 환자의 질병치료 및 재활복귀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때마침 2015년 1월부터 국가자격인 건강운동관리사 가 문화체육관광부 인정 자격으로 탄생하였습니다. 이 자격은 의학적 검진 후 건강증진 및 합병증 예방 등을 위하여 운동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환자에게 의사의 의뢰를 받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국가자격인 것입니다. 본 책은 국가시험관리 위원회에서 제시한 과목 중 운동상해 에 관한 저서로서, 임상 및 현장에서 건강운동관리사가 꼭 알아야 하는 관절별 기능해부학과 운동손상학, 부위별 재활운동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운동손상에 관한 책들이 너무 방대한 양에 비하여 수험서로써 핵심 내용을 간추렸기 때문에 학습의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재활초기 운동 프로그램을 사진으로 제시하여 임상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어려운 해부도를 이해하기 쉽도록 간단하게 표현하였습니다. 각 편마다 5지선다형의 연습문제를 제시하였고 풀이과정에서 학습요약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최신 의학용어를 사용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졸업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전공:스포츠의학)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 (전공:운동처방,재활) 현, 전주대학교 운동처방학과 객원교수 현, (주)삼성디스플레이 근골격계질환예방 센터장 현, 김용권 스포츠의학연구소 대표 현, (주)힐라리스 헬스케어 연구소장 현, 대한레슬링협회 국가대표 의무주치 전, 서울아산병원 스포츠건강의학센터 운동처방 실장 전, 헤렌스포츠클리닉 원장
Ⅰ 스포츠 손상의 예방 Ⅱ 스포츠 손상의 위험관리 Ⅲ 스포츠 손상의 기전 Ⅳ 스포츠 손상의 관리기술 Ⅴ 스포츠 손상의 일반적인 의학적 상태 Ⅵ 스포츠 손상의 재활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