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힌 대한민국을 여는 여섯가지 열쇠
경향신문은 2013년을 맞아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한 시대가치 점검을 위해 석학과 전문가을 초빙해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액체 근대와 소비주의의 문제를 제기한 지그문트 바우만 교수, 박근혜 정부를 맞아 정당정치를 다시 한 번 점검하는 의미에서 만난 최장집 교수, 한국의 경제문제를 복지로 돌파하자는 장하준 교수, 남북관계의 안정이 가장 큰 관건이라고 이야기하는 한완상 전 부총리, 우리 사회에 서슴없는 충고를 하는 법륜스님과 국가와 국민, 자본의 관계를 이야기하며 교환양식을 중심으로 세계를 바라본 가라타니 고진 교수를 만났다.
2012년 대선이 끝나고 많은 사람들이 혼란을 겪었다. 하지만 이 혼란이 방황이 아니라 반성과 고민이 될 수 있게 도와줄 6명의 제언은 닫힌 대한민국을 열고 미래로 나아갈 초석이 될 것이다. 또한 우리 스스로도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믿는다.
서문
첫번째 열쇠 / 소비와 소비주의 그리고 SNS의 한계 - 지그문트 바우만 교수
두번째 열쇠 / 민주당은 '반성'을, 박근혜는 '부분이익'을, 안철수는 '제3당' - 최장집 교수
세번째 열쇠 / 새로운 성장 동력은 복지 - 장하준 교수
네번째 열쇠 / 남북관계 해결 없이 한국의 미래는 없다 - 한완상 전 부총리
다섯번째 열쇠 / 대한민국, 즉문즉설! - 법륜 스님
여섯번째 열쇠 / 자본?국민?국가를 끝까지 의심하라 - 가라타니 고진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