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가닥의 머리카락
우리가 탐닉하는 일본 추리소설의 고전을 발굴하다
일본에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히가시노 게이고, 미야베 미유키 같은 추리소설 작가들은 흥미로운 사건을 추리해가는 묘미를 독자에게 선사한다. 그들은 어떻게 독자들을 사로잡는 스토리텔링의 마법을 부리는 것일까? 그들이 탄생할 수 있었던 특별한 문학적 환경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이런 호기심에서 출발하여 고려대학교 일본추리소설연구회가 만들어졌고 3년여의 기나긴 논의와 연구를 통해 일본 추리소설의 시작과 전개과정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일본 추리소설 시리즈>를 펴내게 되었다.
이 시리즈는 1880년대 후반 일본에 처음 서양 추리소설이 유입되었을 당시의 작품서부터 1945년, 제2차 세계대전 직후까지의 주요 추리소설을 엄선하여 연대순으로 기획한 것으로, 이 시리즈를 통해서 일본 추리소설의 흐름과 경향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리즈에서 담고 있는 일본의 근대 개화기서부터 제2차 세계대전 패전까지의 추리소설은 서양의 추리소설과는 이질적으로 몽환적이며 그로테스크한 일본 특유의 작품들이 다수 창작되었고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의 추리소설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시리즈를 통해서 한국에서도 다수의 작품이 소개된 에도가와 란포라는 ‘일본 추리소설의 아버지’가 어떻게 탄생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그가 동료나 후배 추리소설 작가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의 추리소설이 어떻게 변형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리즈는 가능한 한 한국에 소개되지 않은 작품을 선정하여 번역하고자 했고 이미 번역 소개된 작품도 번역된 지 오래된 작품은 요즘 표현에 맞게 가독성을 중시하며 재번역을 시도했다. 또한 이 시리즈는 일본 추리소설 연구자들이 수록 작품의 문학사적 의의, 한국 문학과의 관계, 추리소설사에서 차지하는 위치 등에 대해 상세한 해설과 작가의 상세 연표를 덧붙이고 있다. 이로써 독자들은 추리소설 자체의 재미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본추리소설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메이지(明治) 시대의 추리소설가, 저널리스트, 사상가이다. 고치(高知) 현 출신. 게이오의숙(慶應義塾) 중퇴. 서구의 추리소설을 번역하면서 1889년에 일본 최초의 창작추리소설 『세 가닥의 머리카락』을 썼다. ‘루이코 쇼시(淚香小史)’라는 필명으로 『법정의 미인』과 『사람인가 귀신인가』를 연재하면서 ‘호걸역’이라는 번역 스타일로 인기를 모았다. 대표작에 『철가면』, 『유령탑』, 『암굴왕』, 『아, 무정』(레미제라블) 등이 있다. 『아, 무정』은 식민지 조선에서 민태원의 『애사(哀史)』로 재번안되었다. 1892년에 도쿄 제일의 발행부수를 자랑하는 『만조보(萬朝報)』를 창간하고 사회적인 폭로 기사나 오락 기사 등을 발표하였고, 러일전쟁 시기에는 정치에 관심을 보였다.
*구로이와 루이코
세 가닥의 머리카락
법정의 미인
유령
*아에바 고손
검은 고양이
모르그 가의 살인
*모리타 시켄
탐정 유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