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는 강물처럼
4대강 르포르타주
공명으로 이어지는 강, 사람, 마을의 이야기
4대강 르포르타주 『흐르는 강물처럼』은 강의 목소리, 강을 지키는 사람들의 목소리, 강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기록하며 사진의 기록을 통해 파괴되고 있는 강과 인간의 삶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 책은 2010년 4월부터 9월까지 진행된 4대강 답사 프로그램 〈흐르는 강물처럼〉에서 시작됐다. 이 4대강 답사에는 연 인원 180여 명이 참여했고, 이 가운데 이 책을 쓰고 기록한 시인과 사진작가가 함께 했다. 답사는 여섯 차례 진행되었고 저자들은 필요에 따라 몇 차례 더 강과 강의 이야기를 들려줄 사람들을 찾았다. ‘르포를 쓰는 시인’ 송기역은 강의 목소리를 대신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받아쓰기’ 했고, 르포작가이자 사진작가인 이상엽은 2년 만에 황망하게 변한 강의 얼굴을 렌즈에 담았다.
저자들은 ‘4대강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진 무수한 생채기들을 기록하는 한편 강, 강을 지키는 사람, 강과 함께 살아온 사람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인다. 어릴 적부터 늘 곁에 있던 “내 똥오줌을 다 받아준” 내성천이 없어진다는 얘기에 농민은 눈물을 흘린다. 70년 넘게 한 마을에 살아온 노인들은 댐 건설 현장의 조감도에 살던 마을과 집이 파란 물속에 잠겨 있는 모습을 보고 충격에 빠져 멍하게 서 있다. 이 노인들에게 갈 곳은 없다. 38년 동안 농사를 지어온 농민의 휴대폰에는 자신이 농사를 지어온 논의 사진이 들어있다. “다시 못 볼 것 같아서”다.
‘4대강 살리기’라는 이름으로 파괴되고 있는 강과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와 모습을 저자 송기역은 ‘우리들의 거울’이라고 전한다. 우리, 우리 시대의 욕망을 비추는 거울이 바로 4대강 파괴의 현장이라고. 그리고 강이라는 거울을 바라보며 우리는 무슨 욕망을 투영하고 있는지 질문한다. 사진을 찍은 이상엽은 죽어 뒤집어진 자라의 모습도, 숨을 헐떡이며 죽어가는 물고기의 모습도, 강바닥의 모래를 파내 농사를 지을 땅 위에 모래를 퍼 올려놓은 잔인한 모습도, 잘려나간 무수한 나무들도,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곳들이 무참히 짓밟히는 모습도 기록해 책에 실었다. ‘우리’가 자행하고 있는 우리의 거울이다.
시인. 르포작가. 대추리 주민들의 삶과 저항을 그린 「트랙터 순례자들의 노래」로 전태일문학상을 수상했고, 5ㆍ18 문학작품 공모에 당선되었다. 그동안 소외된 삶의 현장을 찾아다니며 목소리 없는 사람들의 내면을 기록했으며, 여러 진보 매체에 르포르타주를 싣고 있다. ‘발로 쓰고 몸으로 언어를 길어내는’ 글쓰기를 통해 이미 있는 사실들에서 낯선 세계를 발견하고 놀라는 한편, 사람들의 내면에 이미 와 있는 세계와 만나고 있다.
추천의 글
죽어가는 강으로 귀한 책을 얻었건만, 여전히 슬프구나 (최성각)
생명의 강을 회복하는 희망의 불씨가 되기를 (최병성)
발원지에서
1부 한강
고요한 한강
죽임의 보, 살림의 강
당신의 잠자고 있는 1억, 한강을 소유하세요
천지에는 꽃이 피고 자연은 도를 다하는데
4대강, 우리들의 거울에 비친 것들
모래와 나무들의 공동묘지
두물머리 끝엔 나무십자가가 있다
두물머리 약사
농민은 농사짓는 게 싸우는 거죠
모든 것이 사라졌다고 느낄 때까지 남는 것
미안해
일기일회
2부 낙동강: 이야기 하나
인간이 강과 함께 살아가는 법
나는 자연만 보면 거칠어지는데
공명: 그냥 내가 우는 것, 울면서 존재들의 울림을 듣는 것
비포 앤 애프터
아담, 너는 어디에 있었느냐?
농부 논객 김진창
입이 없는 농민들
내성천과 나는 둘이 아니다
서천의 구름을 서로 잡을라꼬
사라진 미래
놋점마을 노인들의 마지막 여행
내가 사는 집이랑 다 물속에 있고, 서글프더라
3부 금강
El Condor Pasa
새와 사람의 거리
엄마의 강
황금광 시대
잃어버린 시간
논이 사라졌다!
전설처럼 들려온다
4부 영산강
강의 죽음
영산강 피난기
푸조나무에게 듣는다
5부 낙동강
낙동강에서 부치는 안부
우리 몸속에도 강이 흐른다
아름다우면서 위험한 길, 개비리길
두 마리 개의 사랑을 찾아서
두 가지 색깔의 낙동강
나 떠났다 하시고, 나 떠났다 하세요
부처님과 비둘기
강의 하구에서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