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사랑
한국문학발전포럼 대표작 선집 『숨은 사랑』. 한국문학 발전에 힘써오고 있으며, 꾸준하게 활발할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작가 정종명, 김송배, 김종섭, 진동규, 한분순, 이광복, 정복일, 박성배의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소설, 시, 아동문학을 아우르는 다양한 작품들이 소개된다.
저자 :
정종명은 국제펜클럽한국본부 부이사장 역임
경기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대우교수 역임
한국문인협회 편집국장 역임
국제펜클럽한국본부 이사(현)
한국소설가협회 이사(현)
한국사이버대학교 방송문예창작과 외래교수(현)
한국문학발전포럼 대표(현)
저자 :
1943년 3월 경남 합천 출생
1984년 4월 월간<心象> 신인상에「바람」「밤비」「아침 정경」당선 등단
1984년 심상시인회 회원(회장 역임)
1986년 <응시> 동인(대표간사 역임)
1986년~현재 월간<心象>, <월간문학>, <문학세계>(이상 역임), <순수문학>, <문학미디어>, <문학저널>, <한국시>, <서울문학인>, <새문학신문> 편집위원
1987~2002년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총무부장, 사업부장, 월간 <예술세계> 주간
1987년~현재 한국시인협회 회원, 심의위원
1994년~현재 한국수필가협회 회원(이사 역임)
1994년~현재 국제PEN클럽한국본부 회원, 이사
1994년~현재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 회원
1997년~현재 청송시인회(<청시> 동인) 고문
1997~2005년 KBS 방송문화센터 시창작반 지도강사
1999~2004년` www.cyan.co.kr 인터넷 시 창작 강사
2000년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문화예술지도자과정 수료
2003년~현재 서대문문인협회 회원(수석부회장 역임), 자문위원
2007년~현재` 청송시창작아카데미 회장 및 지도강사
2007년~현재 한국문인협회 시분과회장
-시집
『서울 허수아비의 手話』(도서출판 모모, 재판 1987, 미래문화사), 『안개여, 안개꽃이여』(도서출판 거목), 『백지였으면 좋겠다』(혜화당),『黃江』(도서출판 한강),『혼자 춤추는 異邦人』(도서출판 문단),『허물벗기 연습』(경원),『시인의 사랑법』(모아드림), 『시간의 빛깔, 시간의 향기』(삶과 꿈), 『꿈, 그 행간에서』(청송시원), 『金松培詩全集』(청송시원), 『여백시편』(시원)
-시론집
『화해의 시학』(국학자료원), 『성찰의 언어』(청송시원), 『여백의 시학』(한강), 『상상과 진실』(시원), 『존재의 원형』(문학세계)
-시창작법
1997년『시가 보인다, 시인이 보인다』(모아드림)
-산문집
『詩人, 대학로에 가다』(문단), 『그대 빈 가슴으로 대학로에 오라』(한미디어), 『詩보다 어눌한 영혼은 없다』(씨앗), 『지성이냐 감천이냐』(모아드림)
-상훈
제6회 윤동주문학상 우수상, 문화부 장관 표창 ― 예술행정 공로, 영랑문학대상, 조연현문학상 수상
저자 :
1946년 11월 경북 포항 출생
1965년 1월 대구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입학(3월)
1969년 2월 중앙대학교 졸업. 육군 입대
1972년 3월 육군 제대. 중등학교 교사 부임(36년간 포항중, 경주여고, 산내종고, 경주공고, 후포고 등 교직 근무)
1980년 3월 경주문인협회 가입
1983년 3월 월간문학 신인상(시부) 당선 등단. 미래시 동인 참여(~현재)
1984년 3월 한국문인협회 가입
1985년 3월 자유시인협회 경북지회장
1987년 3월 한국문협 경주지부 사무국장
1988년 2월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국어국문학 석사). 한국시인협회, 국제펜클럽한국본부 회원 가입
1990년 2월 경상북도문인협의회 결성, 사무국장
1991년 2월 경북문인협회 부회장. 한국문협 경주지부 부지부장. 목월시비건립위원회 추진 간사(12월)
1992년 5월 한국문협 경북지회 이사
1994년 2월 한국문협 경주지부 회장. 신라문학대상 운영위원(~현재). 한국문협 경북지회 부회장
한국예총 경주지부 간사. 문예지 <포스트모던>, <신라문화> 편집위원. 1995년 2월 한국예총 경북지회 감사
경주시 상징물 제정위원(6월. 경주시민헌장 초안)
1998년 1월 미래시동인회 회장
2001년 2월 동리목월기념사업회 발기이사
2002년 2월 펜클럽 경북지회 감사
2004년 1월 월간문학 시인회의 이사. 한국시협 중앙위원(3월). 감포종합고 교감
2006년 2월 경주문예대학(사회교육원) 출강(~현재). 동해남부시동인회 참여(5월~현재)
2007년 1월 경북문학 100년사 발간위원회 편집주간
2008년 2월 한국문협 경북지회 회장. 한국시협 상임위원(~현재). 한국현대시협 심의위원(~현재)
경북예총 이사. 강구중ㆍ정보고 교장 부임. 한국문학100주년기념 경북시선집 발행(11월)
2009년 2월 중등교장 정년퇴임. 한국문학100주년기념 서사문학집 발행(11월)
경북문협 주최 제1회 전국시낭송대회 대회장
2010년 3월 경북문인협회 고문
-시집
『환상조』(월간문학사),『다시 깨어나기』(미래문화사),『살아 있는 것의 슬픔 또는 기쁨』(혜화당),『 푸른 하늘을 쪼아대는 새』(혜화당), 『섬은 멀리 누워』(도서출판 뿌리), 『부서지는 아름다움』(도서출판 이두), 『반짝이는 갈증』(도서출판 처용),『바람의 집』(도서출판 처용),『내가 길이었으면』(글마당),『그리운 기적』(도서출판 그루)
-논문집
『청마시 연구』(영남대출판사)
-문화칼럼집
『동백과 산수유
-정종명
작가연보
작품
사자의 춤 | 서울은 천국이다 | 숨은 사랑
한국문협 회원들이 본 편집자 정종명
나의 등단 회고록 | 고비 때마다 만난 고마운 사람들
회고담 | 품격 높은 문학지를 만들고 싶었다
문인탐방 | 김혜정 시인의 정종명 소설가 인터뷰
-김송배
꽃비 | 촛불 | 餘白詩53 | 餘白詩64 | 餘白詩65 | 시간에 대하여 7 | 詩―그 행간에서 10
물詩1―탄생의 물 | 물詩2―꿈꾸는 물
칼럼 | 문학과 문단, 그 간극(間隙)에서
-김종섭
내 뼈가 걸려 있다 | 반짝이는 갈증 | 다시 깨어나기 | 신용카드 | 환상조(幻想調) | 부서지는 아름다움 | 내가 길이었으면 | 새 | 아침에 본 풍경 속의 장식품
-진동규
워낭소리 | 꿩밥 | 라면을 먹으면서 | 광장 | 나비는 꿈을 나누지 않는다 | 갈매기 치는 길동이 | 홍도에 가서 | 자국눈 | 석화 | 손을 놓다
-한분순
그러나, 그래도―시조의 재생, 혹은 영생 | 눈[雪]에 어린 | 갈색 파문(波紋) | 저물 듯 오시는 이 | 가을햇살 | 청(靑) | 서정의 취사―쌀을 씻다가 | 고뇌의 만취 | 봄날, 간지러움 | 푸른 묵언 | 산새가 해를 먹었네
-이광복
山行
-정목일
대금산조 | 가을금관 | 능선의 미 | 달빛의 말―덕유산의 추억 | 차 한 잔 | 나비의 삶
-박성배
잃어버린 고향 | 아기햇살이 피운 코스모스 꽃
[동화시] 별들이 사는 이유 | 쬐그만 고 돌담 틈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