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기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이 책에서는 AR과 VR 기술의 현재 상황과 다양한 산업에서의 응용 사례, 그리고 미래 기술의 발전 방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또한, 사용자 상호작용, 내비게이션 디자인, 윤리적 문제와 같은 기술적·사회적 고려사항을 논의했다. AR/VR 기술은 하이브리드 현실, 차세대 인터랙티브 미디어, AI와 5G 기술의 융합을 통해 더 높은 수준의 몰입형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_본문 中"
"숙명여자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과를 졸업한 후, LG전자 디자인경영센터에서 7년간 근무하며 혁신적인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젝트를 주도했다. 특히, 차세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첨단 GUI 설계와 사용자 경험 향상을 중심으로 실무 경력을 쌓았다.
이후, 미국 USC Roski School of Art and Design에서 전설적인 아티스트 April Greiman의 지도하에 인터랙티브 미디어, AR/VR 기술과 디지털 공간 디자인 등 분야를 공부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과에서 겸임교수로 재직하면서,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과 ‘모션 그래픽스’ 등 수업을 통해 AI 등 첨단 기술과 창의적 디자인의 결합을 강의하고 있다. 최근에는 AI를 활용한 기술 융합형 디자인 프로젝트, 메타버스 등 가상공간 창작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5년 LA Art Show에 초청 작가로 참여한다."
"1장 서론: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시대
1.1 현재의 기술적 환경
1.2 AR과 VR의 발전 가능성과 미래 전망
1.3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에서의 AR과 VR의 역할
1.4 책의 구성과 챕터별 내용 소개
2장 AR 및 VR 기술의 기본적 이해
2.1 주요 기술 구성 요소
2.2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작용
2.3 기술 발전 동향과 미래 전망
3장 몰입형 사용자 경험 설계 원칙
3.1 몰입의 심리학적 기초
3.2 사용자 참여와 상호작용 디자인
3.3 경험 지속성과 사용자 피로도 관리
4장 AR 기반 인터랙티브 디자인
4.1 AR 디자인의 이론적 기반
4.2 AR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4.3 성공적인 AR 애플리케이션 사례 분석
5장 VR 기반 인터랙티브 디자인
5.1 VR 디자인의 이론적 기반
5.2 3D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5.3 성공적인 VR 콘텐츠 사례 분석
6장 기술적 구현 방법론
6.1 AR 및 VR 애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세스
6.2 프로토타이핑 및 반복적 설계
6.3 사용자 테스트 전략
6.4 성능 최적화
6.5 기술적 도전 과제 및 해결 방안
6.6 사례 연구: 성공 및 실패 요인
6.7 최신 기술과 트렌드의 통합
7장 AR과 VR의 산업별 응용 사례
7.1 헬스케어 산업에서의 AR과 VR 활용
7.2 제조업에서의 AR과 VR 활용
7.3 교육 분야에서의 AR과 VR 활용
7.4 소매업에서의 AR과 VR 활용
7.5 건축 및 부동산 분야에서의 AR과 VR 활용
7.6 금융 산업에서의 AR과 VR 활용
7.7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AR과 VR 활용
8장 사용자 상호작용과 내비게이션 디자인
8.1 제스처 기반 상호작용 설계
8.2 음성 명령과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통합
8.3 내비게이션 패턴과 사용자 흐름 최적화
9장 윤리적 및 사회적 고려사항
9.1 사용자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보안
9.2 몰입형 경험의 심리적 영향
9.3 접근성 및 포용적 디자인 원칙
10장 미래 전망과 혁신 방향
10.1 AR과 VR의 통합과 MR
10.2 차세대 인터랙티브 미디어 트렌드
10.3 지속 가능한 AR/VR 기술 개발
11장 결론
11.1 주요 논점 요약
11.2 실무자와 연구자를 위한 제언
11.3 핵심 연구 질문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 문헌
이미지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