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베이션3.0
이 시대가 요구하는 혁신전략!
시시각각 바뀌고 있는 경쟁 환경과 거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가?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오픈 이노베이션을 뛰어넘는 혁신전략이 필요하다. 서울대 경영학과 송재용 교수와 그와 함께 오랜 기간 연구해 온 LG경제연구원 신동형 연구원이 현재 혁신분야에서 주목받는 학자들과 주요저널에서 논의되고 있는 현신전략을 분석하고 소개한다.
저자 신동형은 현재 LG경제연구원 전자 전략실 선임연구원이며, 연세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았다. 서울대에서 송재용 교수의 조교로 일하며 혁신전략중심연구 및 모바일 관련 산업연계연구를 지속했으며, 지식경제부 기술혁신평가단(이동통신 R&D사업 평가) 위원이다. 와 〈주간 기술동향 포커스〉, 〈주간동아〉 등에 칼럼을 기고하고, 산업교육연구소와 K모바일, 여러 기업체에서 강의를 했다. 한국기술혁신학회지,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및 전자정보센터에 관련 보고서를 게재했으며, 정보통신부 주관 IT R&D정책논문 공모전 등에서 수상한 바 있다.
저자 송재용은 현재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이며,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 스쿨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컬럼비아대와 연세대 교수로 재직했고 서울대 경영대 부학장을 지냈으며, 지금은 한국경영학회 상임이사를 맡고 있다. 〈조선일보 위클리비즈〉에 ‘송재용 교수의 스마트경영’ 칼럼을 연재해 왔고, SERI CEO, 〈매일경제〉, 〈동아비즈니스리뷰〉 등에도 칼럼을 게재했다. 서울대, 연세대, 전경련 최고경영자과정 및 삼성, 현대기아차, LG, SK, 롯데, 포스코 등의 임원교육과정에서 강의했고, 삼성, SK, 아모레 퍼시픽, 농심의 자문교수로 활동해 왔다. 2010년 〈매일경제〉가 선정한 ‘한국의 경영대가 30인’에 포함되었고, 서울대 교육상, 전경련 국제경영원 및 서울대 경영대 최우수강의상, 연세대 우수업적교수상, 미국경영학회 및 유럽국제경영학회 최우수박사논문상, 컬럼비아대 국제경영강의혁신상, 한국경영학회 최우수논문상 등을 수상했다. 〈경영 과학Management Science〉, 〈전략 경영 저널Strategic Management Journal〉, 〈조직 과학Organization Science〉 등 해외 유수한 저널에 논문을 다수 게재했다.
머리말
1장 이것이 혁신이다
01 혁신이란 무엇인가
02 혁신은 어디에서 오는가
기술 발전의 양상ㅣ변화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ㅣ기술과 고객욕구의 새로운 조합
03 혁신의 다양한 유형들
점진적 혁신 vs 급진적 혁신ㅣ플랫폼 혁신 vs 보완자산 혁신ㅣ구성 혁신 vs 요소 혁신
04 혁신의 역동적인 사이클
혼돈의 시기ㅣ시장 표준 기술이 시대ㅣ점진적인 변화 시기
2장 혁신전략을 혁신하라
05 혁신 아이디어의 탄생
직접 질문하기ㅣ감성이 들어간 디자인ㅣ신시장의 창출
06 혁신의 성공적인 상업화
지식의 상업화ㅣ제품의 상업화
07 혁신전략의 대안들
개방형 혁신ㅣ리얼옵션ㅣ가치혁신
3장 급변하고 있는 산업 트렌드
08 산업의 컨버전스화
컨버전스의 정의ㅣ컨버전스의 유형
09 산업의 네트워크화
네트워크의 유형ㅣ네트워크 효과와 네트워크 기반 전략ㅣ표준화의 정의와 분류
10 산업의 모듈화와 결합화
결합형 vs 모듈형ㅣ모듈화가 적용된 PC산업ㅣ모듈화를 넘어서려는 시도들
4장 혁신은 시스템에서부터 시작하라
11 시스테믹 혁신의 탄생
시스템의 정의와 범위ㅣ시스템의 특징ㅣ시스테믹 혁신전략과 관련된 기존 혁식전략들
12 시스테믹 혁신전략의 수립
13 전략 수립 1단계 : 시스템 범위의 정의와 평가
시스템 범위 정의ㅣ시스템 범위 평가 프로세스ㅣ시스템 구성 및 운영의 위험 평가
14 전략 수립 2단계 : 시스템 범위의 정의와 평가
시스템 범위 정의ㅣ시스템 내 역할 정의ㅣ이익배분 룰 정의
15 전략 수립 3단계 : 피드백을 통한 혁신전략 업그레이드
새로운 혁신 방어ㅣ패러다임 변화 리드하기ㅣ컨버전스 환경에서의 미래 예측
5장 혁신전략을 실행으로 옮겨라
16 혁신을 위한 조직을 구성하라
양손잡이 조직ㅣ내부 벤처 조직ㅣ협력 전담 조직 운영
17 신제품 개발의 진행 과정
단계-관문 모델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