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통제와 윤리
광범위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정부가 사회문제를 올바로 해결할 수 없을 때 엄청난 부작용과 부담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줄이기 위해 행정통제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 책에서는 행정통제의 중요한 주제를 소개한다. 제1장에서는 행정통제의 개념과 필요성, 과정을 살핀다. 제2장과 제3장에서는 행정윤리와 공직가치, 행정윤리의 관리를 다룬다. 제4장에서는 주요 행정이념을 살피고 이를 통해 정부 활동을 다각적으로 조망함으로써 행정통제를 좀 더 포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5장에서는 행정책임을 소개하고 제6장부터 제9장까지는 행정책임의 확보방안과 구체적인 제도를 살핀다. 제10장에서는 특히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한 공직부패를 다룬다. 제11장은 감사기구를, 제12장에서는 시민단체를 논의하였다. 제13장은 싱가포르의 실제 사례를, 제14장과 15장에서는 행정개혁의 필요성과 논리를 살펴보고, 향후 한계와 전망을 소개한다.
제1장 행정통제의 의의
제2장 행정윤리와 공직가치
제3장 행정윤리의 관리
제4장 행정통제의 기준: 행정이념
제5장 행정책임과 보장방법
제6장 외부적·공식적 행정통제
제7장 외부적·비공식적 행정통제
제8장 내부적·공식적 행정통제
제9장 내부적·비공식적 행정통제
제10장 행정통제와 공직부패
제11장 행정통제와 감사기구
제12장 행정통제와 시민단체
제13장 외국의 행정통제와 공직윤리제도: 싱가포르
제14장 행정개혁
제15장 행정통제의 한계와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