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변동론 (워크북 포함)
행정변동에 관한 논의는 우리 인간이 변동을 계획하고 변동의 목표를 이룰 수 있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그리하여 변동에 대해 더 진지하고 신중하게,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변동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 책은 행정변동을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행정 구성요소들의 변동을 중점적으로 살핀다. 이를 위해 변동분석의 이론적 틀로서 복잡계 이론을 살펴보고 행정환경의 변동을 비롯하여 행정이념의 변동, 행정조직의 변동, 행정관료의 변동, 정책의 변동을 기술했다. 각각의 요소에 대한 변동을 기술하면서 이론과 실제를 균형 있게 다루기 위해 실제 사례를 곳곳에서 많이 언급하고 분석했다.
제1장 행정변동의 개념과 접근방법
1.1. 행정변동의 개념
1.2. 행정변동의 구성요소
1.3. 행정변동에 관한 시각과 접근방법
제2장 행정환경의 변동과 이론적 접근
2.1. 행정환경변동의 의의
2.2. 행정환경변동의 구성요소
2.3. 행정환경 패러다임의 변화
2.4. 환경변동과 행정변동에 관한 논리
제3장 행정변동분석의 이론적 틀: 복잡계 이론
3.1. 복잡계의 특징과 이론체계
3.2. 행정현상의 비선형성 및 창발성
3.3. 새로운 이론적 틀의 필요성
3.4. 복잡계 이론의 이점과 시사점
3.5. 복잡계 이론의 적용 가능성
3.6. 평가와 과제
제4장 행정이념변동의 이론적 접근
4.1. 행정이념에 관한 이론적 논의
4.2. 우리나라 역대 정부의 행정이념변동
4.3. 역대 정부의 주요이념 비교분석
4.4. 행정이념변동의 해석적 함의
제5장 행정조직변동의 이론적 접근
5.1. 조직변동의 의의
5.2. 조직변동의 성공조건
5.3. 조직변동의 방법
5.4. 조직변동의 이론적 관점
5.5. 조직의 성장과 소멸
5.6. 조직변신
제6장 행정조직변동의 유형
6.1. 행정조직변동의 차원
6.2. 목표의 변동
6.3. 목표변동의 동인
6.4. 구조의 변동
6.5. 과정의 변동
6.6. 문화의 변동
6.7. 기술의 변동
6.8. 조직형태의 변동: 팀제 조직
제7장 행정관료변동의 실제와 원인
7.1. 의의
7.2. 관료 수의 변동
7.3. 관료 재직기간의 변동
7.4. 역할변동
7.5. 관료의 성분(배경)
7.6. 관료의 변동원인
7.7. 빈번한 교체의 문제점
7.8. 문제점 해소방안
제8장 정책변동의 이론적 접근
8.1. 정책변동의 개념
8.2. 정책변동의 유형
8.3. 정책변동의 차원
8.4. 평가와 문제점
8.5. 정책변동의 이론적 모형
제9장 행정변동의 전략과 방법
9.1. 의의
9.2. 대상
9.3. 행정변동의 원리
9.4. 변동의 주도자
9.5. 저항과 극복전략
9.6. 추진과정과 전략의 개혁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