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에서 마음을 읽다
지친 내 마음을 다독여주는 영화 속 메시지
무뎌지고 지친 나를 위로하는 영화 심리학 『스크린에서 마음을 읽다』. 상담심리사이자 작가인 저자는 ‘영화’를 매개로 인간의 다양한 감정과 내면을 심리학적 기법으로 살펴본다.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은 영화 속 주인공의 현실을 살펴보며 위축된 마음을 펴고, 조언을 얻으며 내 삶을 투영해주는 거울로 삼을 수 있도록 돕는다. 27편의 영화를 선정해 ‘상처와 치유’ ‘내면과 변화’ ‘관계와 소통’ ‘사랑과 욕망’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영화 속 심리 이야기를 풍성히 담아냈으며, 영화 이야기 뒤에 각각의 팁을 실어 심리학적 분석을 보강하고 저자가 사람들과 나눈 상담 내용을 함께 담았다. 이 책과 함께 영화가 주는 메시지를 통해 공감과 치유의 과정으로 들어가 본다.
프롤로그 해피엔딩을 일군 사소한 시작
Chapter 1
상처와 치유
네 잘못이 아냐_굿 월 헌팅
-동일시 폭력은 왜 폭력을 낳을까?
조각난 마음의 파편을 이어 붙이는 힘_가을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사고 얘기를 듣는 것만으로도 고통스러운 이유는 뭘까?
한쪽 문이 닫히면 다른쪽 문이 열린다_노블리
-연합 왜 굴러간 볼링공을 보며 계속 손을 움직이게 될까?
우리 안의 광기와 공존하는 법_뷰티풀 마인드
-망상 어떤 것을 망상증이라고 할까? 망상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사이코패스를 진단하다_향수
-접촉 위안 다정한 포옹이 마음의 치유에 미치는 영향
진정한 치료자를 꿈꾸다_패치 아담스
-심리치료 심리치료가 정말 도움이 될까?
일상의 위기를 그리다_괴물
-위기 살면서 흔히 겪게 되는 심리적 위기는 어떤 것이 있을까?
Chapter 2
내면과 변화
우연히 던져진 삶의 주인공이 되어_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정체성 나는 누구? 여긴 어디? 정체감의 확립 단계
미녀는 진정 괴로울까?_미녀는 괴로워
-자아 개념 외모를 바꾸기 전에 자아 개념을 점검해보라
천사는 무엇을 입을까?_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인상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패션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내안의 천재를 만나다_어거스트 러쉬
-내재적 동기 왜 좋아서 했던 일이 '일'이 되면 더는 즐겁지 않을까?
그와 그녀의 심리적 표류기_김씨 표류기
-자기의식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불편해 혼자 있고 싶어진다면
강박이 사랑을 만나다_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강박장애 어떤 모습을 보일 때 강박증이라고 할까?
마음까지 핸섬해집시다_핸섬 수트
-귀인 잘되면 내탓 안되면 상황 탓?
Chapter 3
관계와 소통
시대가 은폐하는 진실을 찾아서_체인질링
-편향 경직된 사고방식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너만의 'No'를 말해_작전명 발키리
-자기주장성 왜 우리는 주장을 어려워 하는가?
내안의 방어기제를 점검하다_미 마이 셀프 앤드 아이린
-방어기재 내가 나를 견딜 수 없을 때 쓰는 가면, 방어기재
내 마음의 엑셀과 브레이크_예스 맨
-기질 나와 기질이 맞는 배우자는 어떤 사람?
나를 일으키는 관계, 나를 지우는 관계_천일의 스캔들
-자아 분화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건강한 사람이란?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_우리 의사 선생님
-이타성 사람이 이타적인 행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르시시스트의 사랑과 변화_스위트 노뱀버
-자기애 다른 사람의 말에 민감한 것은 자존심 때문일까?
Chapter 4
사랑과 욕망
신여성이 탄생하다_아내가 결혼했다
-진화 심리학 왜 남자는 젊고 예쁜 여자를, 여자는 능력있는 남자를 좋아할까?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_사랑의 레시피
-완벽주의 완벽주의는 왜 우리를 힘들게 하는가?
왜 꼭 그녀여야 하는가?_나의 특별한 사랑 이야기
-사랑의 삼각 이론 무엇을 사랑이라고 할까?
세상에서 가장 모순적인 존재를 성찰하다_여배우들
-정서 폭력 그녀는 왜 질투가 심할까?
함꼐 하는 것이 확실히 좋아_모짜르트와 고래
-성격 사랑하지만 너무도 다른 우리
욕망을 끌어 안다_박쥐
-무기력 비참한 현실을 그대로 감내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에필로그 앤딩 크레딧을 올리며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