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관리자와 심리상담사를 위한 실무자 질적 보고서 작성법
“보고서 하나로 내 업무의 가치가 높아진다”
사례관리자와 심리상담사를 위한 실무자 질적 보고서 작성법
복잡한 연구보고서 No, 실무에서 쉽게 따라할 수 있는 6step 안내서
사회복지 현장에서 근무하는 사례관리자나 상담자들은 많은 클라이언트를 만나 상담을 하고, 그들의 삶이 더 나아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을 한다.
하지만 그 결과를 보고서로 써야 할 때는? 보람되고 가치 있었던 결과들이 분명하게 있지만 수치로 펑가할 수 없는 것이라면? 클라이언트가 놀랍게 변화된 모습을 어떻게 보고서에 ‘보이게’ 표현할 수 있을까?
이때 필요한 것이 질적 분석 보고서이다. 질적 분석은 개인의 삶과 관점이 변화하는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는 방편이다. 최근에는 인문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 등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질적 분석 방법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론별로 연구단계들이 다양하고 모호해서 실무자들이 보고서 작성 시 질적 분석방법을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 책은 기존 이론서들과 달리, 실제로 실무자들이 질적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의 작업 순서들을 단순하게 6가지 스텝으로 안내했다. 또한 실무현장에서 실제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와 예시를 들어 쉽게 설명했다.
질적 분석에 관심이 있었지만 엄두를 못 냈던 분들, 내 업무의 성과를 보고서에 밀도 있게 담아내고 싶은 분들이라면 이 책 한권으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대로 한 스텝 한 스텝 따라해보자. 어느덧 보고서 하나로 내 업무의 가치가 확연히 높아짐을 느끼게 될 것이다.
Step 1. 질적 보고서의 시작
1. 주제 잡기
● 나에게 던지는 질문
● 질적 보고서의 제목
● 주제 잡는 요령
2. 목적을 명확하게 하기
● 업무에 어떻게 도움이 될 것인가
● 의미 탐구가 목적이다
Step 2. 질적 분석을 위한 질문
1. 질문 만들기
● 목적에 맞는 질문 만들기
● 반구조화 질문 만들기
● 초점 질문과 보충 질문
2. 구조적인 결과를 위한 질문
3. 질문 만들기 Tip
Step 3. 질적 분석을 위한 인터뷰
1. 질적 인터뷰란
● 현상학적 인터뷰
● 반구조화 인터뷰
2. 인터뷰 인원
● 개인 인터뷰(face-to-face interview)
● 그룹 인터뷰(group interview)
● 인터뷰 참여 인원 기준
3. 인터뷰의 기술
●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인터뷰
● 핵심 단어 붙잡기
● 감정 탐색
● 나누어 질문하기
● 질문의 균형 맞추기
4. 인터뷰에서 주의할 9가지
5. 인터뷰 Q&A
Step 4. 인터뷰 자료의 수집
1. 동의 구하기와 윤리적 문제 고려
2. 인터뷰 녹음과 받아쓰기
● 음성인식 문자 변환
● 음성 메모
3. 인터뷰 스케치
Step 5. 질적 분석을 위한 의미 작업
1. 의미 구절 나누기
● 의미 구절 빗금 표시
● 의미 요약하기
● 의미 요약 합의하기
2. 범주화하기
● 최종진술문 도출하기
● 하위범주화
● 범주화
3. 분석 자료의 해석
● 질적 자료의 해석에 대한 이슈
● 해석의 타당성 확보
4. 합의적 교차 해석
● 교차 해석 절차
● 교차 해석 빈도 분석
Step 6. 질적 분석 보고서 작성
1. 질적 연구 계획 보고서
● 연구 계획 보고서의 의미
● 계획 보고서의 구성
2. 질적 분석 결과 보고서
● 연구 결과 보고서의 의미
● 결과 보고서의 구성
● 주요 결과 기술
● 범주별 해석 기술
3. 질적 분석 보고서 작성 핵심 체크
허미라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